🏡 실내디자인의 과정|기획부터 완공까지 단계별 정리
**실내디자인(Interior Design)**은 단순한 인테리어 장식이 아닌, 공간의 기능성과 미적 완성도를 동시에 고려하는 창조적 작업입니다.
다음은 실내디자인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일반적인 단계입니다.
1️⃣ 프로젝트 기획(Planning)
- 고객 상담 및 요구사항 수집
- 공간 용도 및 목적 파악
- 예산 설정
- 일정 계획 수립
📌 핵심 포인트: 이 단계에서 디자인 방향성과 콘셉트가 정해집니다.
2️⃣ 현장조사 및 분석(Site Analysis)
- 실측 및 구조 확인 (평면, 천장, 설비 등)
- 기존 공간의 문제점 분석
- 빛, 동선, 환기 등 환경 요소 조사
- 법적 요건 확인 (건축법, 소방법 등)
📌 팁: 리노베이션의 경우 기존 건축물 도면 확보가 중요합니다.
3️⃣ 컨셉 개발(Concept Development)
- 공간의 테마/스타일 설정 (예: 미니멀, 빈티지, 모던 등)
- 컬러 팔레트와 재료(Materials) 계획
- 무드보드(Mood Board), 이미지 보드 제작
- 컨셉 설명서 작성
📌 핵심 키워드: 기능성 + 심미성 + 사용자 경험(UX)
4️⃣ 디자인 설계(Design Development)
- 평면도, 천장도, 입면도, 가구배치도 등 도면 작업
- 3D 모델링 및 투시도 렌더링
- 마감재 및 조명 계획
- 디테일 도면 작성 (가구, 조명, 전기 등)
📌 툴 예시: AutoCAD, SketchUp, 3ds Max, Revit, Lumion, Twinmotion
5️⃣ 예산 견적 및 공사 계획(Budgeting & Scheduling)
- 자재별 수량 산출 및 단가 견적
- 전체 공사비 예산 작성
- 시공 일정표(Gantt Chart) 수립
- 공정 분배 및 협력업체 선정
📌 팁: 클라이언트가 가격 민감한 경우, 가성비 자재 제안 중요
6️⃣ 시공 및 감리(Construction & Supervision)
- 시공사와 협업해 공사 진행
- 설계 도면대로 정확하게 시공되는지 감리
- 중간 점검 및 수정사항 반영
- 자재 납품 및 현장 설치
📌 주의: 실제 공간이 설계와 다르게 시공되지 않도록 현장 대응 능력 필수
7️⃣ 완공 및 인테리어 연출(Final Styling)
- 가구, 조명, 커튼, 소품 등 디스플레이
- 클라이언트 입주 전 최종 점검
- 사용설명 및 유지관리 안내
📌 팁: 사진 촬영 시기이기도 하며, 포트폴리오용 작업 마무리 단계
🧾 실내디자인 전체 흐름 요약표
단계주요 내용
1. 기획 |
상담, 콘셉트 방향성 결정 |
2. 현장분석 |
실측, 구조 확인, 법적 분석 |
3. 컨셉개발 |
무드보드, 스타일 기획 |
4. 설계 |
2D도면, 3D렌더링, 디테일 설계 |
5. 예산/일정 |
견적서, 공정계획 |
6. 시공 |
공사, 감리, 설치 |
7. 연출 |
소품 스타일링, 최종 점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