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실내 디자인 기획·설계 과정: 전체 흐름 정리
1단계. 프로젝트 이해 & 목적 설정
📌 주요 작업
- 클라이언트 요구사항 분석
- 공간의 기능, 컨셉, 예산, 일정 파악
- 문제 정의 (기존 공간의 문제점 등)
📋 산출물
- 디자인 브리프 (Design Brief)
- 목적 및 방향 설정 문서
2단계. 현장조사 및 자료 분석
📌 주요 작업
- 대상지 조사 (Site Survey)
- 구조, 치수, 채광, 동선, 소음 등
- 사용자 분석 (User Analysis)
- 나이, 라이프스타일, 사용 시간대
- 경쟁사/유사 사례 조사 (Benchmarking)
- 관련 법규 확인 (건축법, 장애인 편의, 소방 등)
📋 산출물
- 실측 도면 / 사진
- 사이트 분석 보고서
- 유사 사례 비교 분석표
3단계. 기획 및 콘셉트 도출 (Concept Planning)
📌 주요 작업
- 키워드 설정 (디자인 방향 정하기)
- 공간의 핵심 감성/이야기 개발
- Moodboard / Reference 이미지 수집
- 아이디어 스케치 / 다이어그램
📋 산출물
- 컨셉 보드
- 키워드 정의서
- 공간 흐름 및 조닝 스케치
💡 이 단계에서 공간의 "성격"과 "분위기"가 결정됨
4단계. 공간 구성 및 조닝 (Zoning & Planning)
📌 주요 작업
- 전체 평면 구성
- 기능별 공간 배치
- 동선 계획 (메인 동선 / 보조 동선)
- 가구 및 시설 배치 개략 계획
📋 산출물
- 평면조닝도
- Bubble diagram / 공간 관계도
- 초기 가구배치 스케치
5단계. 기본 설계 (Basic Design)
📌 주요 작업
-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작성
- 주요 공간별 상세계획
- 마감재 / 재료 선정
- 컬러 플랜 / 조명계획 / 가구 선택
- 3D 모델링, 렌더링
📋 산출물
- 기본 도면 세트 (2D CAD 또는 BIM 기반)
- 3D 이미지
- 재료보드 (Material board), 컬러팔레트
6단계. 시나리오 및 사용자 경험 설계
📌 주요 작업
- 사용자 동선 흐름에 따른 스토리텔링
- 시간대별 공간 사용 시나리오
- 감정 변화 / 경험 흐름 디자인
📋 산출물
- 사용자 페르소나
- 시나리오 플로우 차트
- 사용 동선 애니메이션 or 다이어그램
7단계. 실시설계 및 디테일링 (Detail Design)
📌 주요 작업
- 세부 마감 계획
- 가구 / 조명 / 전기 / 설비 상세도 작성
- 공사비 산출 기준 제공
📋 산출물
- 실시설계 도면
- 상세 디테일 도
- 스펙북 (재료, 마감, 가구 정보 포함)
8단계. 프레젠테이션 및 제안 (Design Presentation)
📌 주요 작업
- 전체 스토리 정리
- 발표용 도판 / 슬라이드 제작
- 모형, VR, 영상 등 보조매체 활용
📋 산출물
- PT 슬라이드
- A1 도판 (보통 학교나 클라이언트 제안용)
- 요약 리플렛 or 보고서
🎯 한눈에 보는 핵심 키워드
단계키워드
1. 프로젝트 이해 | 목적, 요구분석 |
2. 현장조사 | 실측, 사용자 분석 |
3. 컨셉 도출 | 키워드, 감성, 무드 |
4. 조닝 | 동선, 공간 구성 |
5. 기본 설계 | 평면, 입면, 렌더 |
6. 사용자 시나리오 | 경험 설계 |
7. 디테일 설계 | 마감, 가구, 공사 |
8. 발표 | 스토리텔링, 시각화 |
728x90
반응형
LIST
'건축디자인 > Interiror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테리어 공무 업무 매뉴얼 표준안 (Interior CM Manual Template) (3) | 2025.04.25 |
---|---|
🛠️ 인테리어 공무 프로세스 플로우 (0) | 2025.04.25 |
🎯 컨셉보드 + 렌더링 + 시나리오 중심 발표 구성안 (0) | 2025.04.16 |
실내건축 디자인 스튜디오 PT (0) | 2025.04.16 |
🎨 디자인 발표자료 슬라이드 구성 (Design Presentation Slide Structure)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