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포트폴리오 구성 흐름 제안 (주택 5채 리노베이션 → 노인 공간)


🔹 1. Cover

  • 제목 예시:
    “5 Houses, 5 Stories: 노인을 위한 주거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 대표 이미지: 전체 마스터플랜 조감도나 감성적인 렌더링 컷

🔹 2. 프로젝트 개요

  • 대상: 노인을 위한 커뮤니티 리빙
  • 공간 수: 기존 단독주택 5채
  • 목적: 독립성과 공동체성을 동시에 갖춘 복합 주거 실험
  • 본인의 역할: 설계 전반 + 기획 + 사용자 분석

🔹 3. 전체 마스터플랜

  • 5채 주택의 배치 다이어그램
  • 동선, 커뮤니티 공간 연결 구조
  • 공용 vs 사적 공간 흐름
  • 노인들의 이동성과 안전을 고려한 설계

🔹 4. 컨셉 보드 & 키워드

  • 키워드 예시:
    회복 / 연결 / 존중 / 기억 / 안정감
  • 무드보드: 감성 이미지, 질감, 재료, 조명 톤
  • 디자인 다이어그램: 각 키워드가 공간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 5. 공간별 설계 (각 주택마다 1~2페이지)

각 집마다 약간 다른 기능 or 성격을 부여하면 좋아요. 예:

주택 번호콘셉트설명
House A "회복의 집" 치유정원이 있는 단독 공간
House B "기억의 집" 개인 취미방과 수납 중심
House C "함께하는 집" 공동 식사와 모임이 가능한 주방 중심
House D "조용한 집" 독립 거주형 1인 공간
House E "돌봄의 집" 간호 스테이션 포함 케어형 유닛
  • 각 집마다:
    • 평면도
    • Before/After 비교
    • 조닝 / 동선 설명
    • 렌더링 1~2장
    • 사용자 시나리오 간단히 삽입

🔹 6. 사용자 분석 + 시나리오

  • 페르소나 2~3명 설정 (예: 혼자 사는 70대, 부부 노인, 치매 초기 어르신 등)
  • 하루 흐름에 따른 공간 사용 시나리오
  • 커뮤니티 활동, 식사, 산책, 돌봄 등

🔹 7. 디자인 강점 요약

  • 인사이트: "기존 주택을 어떻게 재해석했는가?"
  • 유니버설 디자인 요소
  • 감성 + 기능의 균형
  • 실현 가능성 (예산, 구조 변화 최소화 등)

🔹 8. 마무리 & 클로징

  • “이 프로젝트에서 제가 보여드리고 싶은 것은…”
  • 감성 이미지 컷으로 마무리
  • 이름 / 연락처 / 포트폴리오 정보

💡 취업용 포인트 강조 팁

요소전략
🎯 목적성 단순 미학 아닌 “사회적 가치를 가진 디자인”임을 강조
🧠 사고력 사용자 분석, 동선 기획, 리노베이션 전략을 논리적으로 설명
💬 스토리 “5채에 담긴 5가지 이야기”처럼 감성적 흐름도 함께 구성
🛠️ 실현성 구조변경 최소화 / 예산 고려 / 안전 기준 등 실무 감각 보여주기
✍️ 표현력 다이어그램, 시나리오, 키워드 등을 활용한 설득력 있는 전개

 

🔥 지금 단계에서 해야 할 1차 정리: “기획 골격 만들기”


✅ [1] 프로젝트 이름 & 슬로건 정하기

💬 포트폴리오의 “브랜드화” 첫걸음

예시 아이디어

  • 프로젝트명: "5 Houses for Later Life"
  • 부제: 노년의 삶을 위한 다섯 가지 주거 실험
  • 또는 한글 이름: “오채(五彩)의 집”
    • 오채: 다섯 가지 삶의 색깔

✅ [2] 각 주택에 스토리 부여하기

💬 단순 주거가 아니라, 사용자 경험 중심 공간이라는 걸 보여주는 핵심!

주택컨셉 키워드공간 성격 아이디어
A 자립 1인 노인의 독립 거주 공간, 무장애 설계
B 기억 사진, 서재, 아날로그 감성 가득한 집
C 돌봄 보호자나 요양사가 함께 거주 가능한 구조
D 소통 공동 부엌, 정원, 마루가 있는 커뮤니티 하우스
E 치유 햇살, 정원, 자연 중심의 심신 안정 공간

💡 이건 초안이니까, 실제 조사하면서 바꿔도 OK!


✅ [3] 사용자 유형(페르소나) 가볍게 설정

💬 공간은 ‘누가’ 쓰느냐에 따라 설계가 완전히 달라져요!

유형나이/특징주요 니즈
김순자 (72세) 혼자 거주 안전한 동선, 최소한의 유지관리
이부부 (75, 78세) 부부 동거 서로 다른 생활 패턴 고려
박영식 (68세) 지병 있음 돌봄 공간 + 조용한 휴식
홍정희 (76세) 커뮤니티형 선호 함께 식사, 대화, 정원 가꾸기

✅ [4] 구성 흐름 기본 틀 만들기

슬라이드 흐름 예시:

  1. 표지
  2. 기획 개요 (목적 + 대상)
  3. 마스터플랜 (5채 배치도)
  4. 컨셉 보드 (전체 키워드 + 감성 이미지)
  5. 사용자 페르소나
  6. House A – 자립의 집
  7. House B – 기억의 집
  8. House C – 돌봄의 집
  9. House D – 소통의 집
  10. House E – 치유의 집
  11. 시나리오 흐름도 (사용자 동선)
  12. 강점 정리 / 디자이너의 관점
  13. 클로징 & 연락처

📌 다음 단계에서 할 일

  1. 대상 주택(5채) 리서치
    • 실제 주택 예시여도 되고, 가상의 설정도 가능
    • 구조 스케치, 평면 정리
  2. 사용자 분석 / 문제 정의 정리하기
  3. 전체 배치 시안(조닝) 스케치하기
  4. 컨셉 키워드 이미지 모으기 (무드보드 제작)
    • Pinterest, Archdaily, Dezeen 참고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 인테리어 디자인 문서 Flow

프로젝트 초기 기획부터 시공까지 사용하는 설계 문서 흐름표


1️⃣ 기획 단계 (Project Brief)

  • 고객 요구사항 정리
  • 공간 용도, 분위기, 기능 목표 설정
  • 예산 & 일정 조건

📄 관련 문서:

  • 프로젝트 제안서
  • 클라이언트 요구사항서
  • 공간 분석표

2️⃣ 현장조사 & 기존 자료 수집 (Site Survey)

  • 실측 및 기존 건축 구조 파악
  • 전기/설비 확인
  • 기존 도면 확보

📄 관련 문서:

  • 실측 도면
  • 현장조사 보고서
  • Before 사진 자료

3️⃣ 컨셉 디자인 (Concept Design)

  • 스타일 & 테마 설정
  • 무드보드, 색상 조합, 재료 스케치
  • 콘셉트 스케치

📄 관련 문서:

  • 무드보드
  • 콘셉트 설명서
  • 이미지 보드 (스타일 레퍼런스)

4️⃣ 기본설계 (Schematic Design)

  • 평면 레이아웃
  • 가구 배치
  • 동선, 조도 계획

📄 관련 문서:

  • 평면도(Plan)
  • 천장도(RCP)
  • 가구배치도
  • 기본 3D 렌더링

5️⃣ 실시설계 (Design Development & CD)

  • 세부 도면 (입면도, 단면도, 상세도 등)
  • 마감재 선정
  • 조명/전기/설비 계획

📄 관련 문서:

  • 실내건축 상세 도면
  • 마감재 Schedule
  • MEP 도면 (기계/전기/배관)

6️⃣ 자재 및 견적 문서 (BOQ & Spec)

  • 마감재 사양서 (Finish Specification)
  • 가구/조명/소품 스펙
  • 수량산출서

📄 관련 문서:

  • 자재 리스트(Material List)
  • 품셈 산출서(BOQ)
  • 견적서

7️⃣ 시공 관리 및 감리 문서 (Construction & Supervision)

  • 시공 진행표
  • 설계변경 요청서(RFI, 변경도)
  • 중간점검 체크리스트

📄 관련 문서:

  • 공정표
  • 현장 감리일지
  • 클라이언트 검수 리포트

🧾 인테리어 문서 흐름 요약표

단계주요 문서역할
기획 프로젝트 제안서, 요구분석서 방향 설정
조사 실측도면, 현장사진 조건 파악
컨셉 무드보드, 콘셉트설명서 디자인 방향
기본설계 평면도, 조명계획 기능 설계
실시설계 상세도면, 마감표 시공준비
견적 자재스펙, 수량산출서 예산산정
시공 변경도, 감리일지 실행 관리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 인테리어 설계 프로세스|Interior Design Process

1️⃣ 기획 단계 (Programming)

  • 클라이언트 요구사항 정리
  • 공간 용도 분석 및 기능 정리
  • 법규 검토(건축법, 소방법, 바닥면적 등)
  • 예산 및 일정 설정

🔑 이 단계는 전체 설계 방향을 결정하는 “기초 설계 계획”


2️⃣ 현장조사 및 분석 (Site Survey & Analysis)

  • 기존 건축물 실측 (벽체, 기둥, 창호 등)
  • 전기/설비/환기 요소 파악
  • 빛, 동선, 소음, 시야 분석

🔍 정확한 도면 기반 확보 + 설계 제약 조건 확인


3️⃣ 기본 설계 (Schematic Design)

  • 평면 레이아웃 구성
  • 가구 배치, 동선 최적화
  • 주요 재료 및 색채 구상
  • 개념 스케치 및 콘셉트 보드

✏️ 전체적인 디자인 아이디어를 구조화하는 단계


4️⃣ 실시설계 (Design Development)

  •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작성
  • 조명계획, 전기배선도, 설비도
  • 디테일 설계 (몰딩, 가구, 천장 등)
  • 3D 모델링 및 렌더링

📐 시공 가능한 수준의 정밀 도면 완성 단계


5️⃣ 자재 선정 및 견적 산출

  • 마감재, 가구, 조명 등 상세 스펙 결정
  • 자재별 수량 계산
  • 전체 예산 견적서 작성

📊 시공을 위한 실행예산 정리 + 클라이언트 승인


6️⃣ 시공 도면 제출 및 협의

  • 시공업체에 도면 전달
  • 공사 순서 및 공정 협의
  • 협력업체(목공, 전기, 도장 등) 조율

🔧 설계와 시공을 이어주는 커뮤니케이션 핵심 단계


7️⃣ 설계 감리 및 수정 대응

  • 현장 점검 및 도면 이탈 여부 확인
  • 클라이언트 요청사항 변경 반영
  • 설계 수정사항 문서화

🔍 설계자의 책임 하에 품질관리 수행


✨ 인테리어 설계 프로세스 한눈에 보기

css
복사편집
[기획][현장조사][기본설계][실시설계][자재/견적][시공협의][감리/수정]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